약물상식

라니티딘 – 위산 분비 억제하는 위장약

writeguri3 2025. 3. 5. 09:31
반응형

**라니티딘(Ranitidine)**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대표적인 H2 수용체 길항제(H2RA, Histamine-2 Receptor Antagonist) 계열의 약물로, 위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GERD), 소화성 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과거에는 제산제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와 함께 위장약으로 널리 사용되었지만,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 불순물 검출 문제로 인해 2019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라니티딘의 작용 기전과 위산 억제 효과

H2 수용체 차단을 통한 위산 억제

라니티딘위벽의 위산 분비 세포(벽세포, Parietal Cell)에 존재하는 H2 수용체를 차단하여 히스타민이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억제한다.

  • 위산 분비가 감소하여 위 점막이 보호된다.
  • 야간 위산 분비를 줄여 야간 속쓰림 증상 완화 효과가 있다.
  •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GERD), 위염 치료에 효과적이다.

라니티딘은 비교적 빠르게 작용하며, 위산을 장시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하루 1~2회 복용으로도 충분한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라니티딘의 주요 적응증과 치료 효과

1.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치료

  •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 점막 손상을 방지하고 궤양 치유를 촉진한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로 인한 궤양 예방 효과도 있다.

2. 위식도 역류 질환(GERD) 및 속쓰림 완화

  • 위산 역류를 줄여 식도 점막 손상을 방지하고 속쓰림 증상을 개선한다.
  • 특히 야간 위산 분비를 줄이는 효과가 뛰어나 야간 속쓰림이 심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3. 졸링거-엘리슨 증후군(고산성 증후군)

  • 위산 과다 분비가 발생하는 희귀 질환으로, 라니티딘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된다.

라니티딘 복용 방법과 용량

일반적인 용량

  • 위궤양 치료: 150mg 1일 2회 또는 300mg 1일 1회(취침 전)
  • GERD 치료: 150mg 1일 2회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600900mg 1일 23회

복용 시 주의사항

  •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가능하다.
  • 최소 4~8주 이상 복용해야 궤양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 흡연은 약물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이 권장된다.

라니티딘의 부작용과 주의사항

라니티딘은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위장약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일부 환자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 흔한 부작용

  • 두통
  • 어지러움
  • 변비 또는 설사
  • 피로감

2. 드문 부작용

  • 간 기능 이상(ALT, AST 상승)
  • 신장 기능 저하
  • 알레르기 반응(발진, 가려움증)
  • 혈소판 감소증(출혈 위험 증가)

특히 간 질환 환자나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라니티딘의 NDMA 검출과 사용 중단 이슈

1. NDMA란?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은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분류되는 화합물이다.

  • NDMA는 극소량이라면 인체에 무해하지만, 지속적인 노출 시 간암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2019년, 미국 FDA와 유럽 EMA는 일부 라니티딘 제품에서 NDMA 불순물이 검출되었다고 발표했다.

2. 라니티딘의 퇴출 과정

  • 2019년 9월: 미국 FDA가 일부 라니티딘 제품에서 NDMA가 검출되었음을 발표.
  • 2019년 10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서도 라니티딘 제제의 판매 및 처방을 중지.
  • 2020년 4월: 미국 FDA가 모든 라니티딘 제품의 판매 중지를 결정.
  • 이후, 대체 약물로 **H2 차단제(예: 파모티딘) 및 PPI(예: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가 사용되고 있다.

라니티딘의 대체 약물

약물군 대표 약물 기전  주요 효과  부작용
H2 수용체 길항제(H2RA) 파모티딘, 시메티딘 위산 분비 억제 위궤양 치료, GERD 완화 두통, 어지러움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위산 분비 차단 위궤양 치료, GERD 예방 위장 장애, 비타민 B12 결핍
제산제 알마게이트, 수산화마그네슘 위산 중화 속쓰림 완화 변비 또는 설사

라니티딘 사용이 중단된 이후, 현재는 파모티딘(펩시드) 또는 PPI 계열 약물이 1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결론: NDMA 검출로 인해 사용이 중단된 위장약 라니티딘

라니티딘은 위산 억제 효과가 뛰어난 H2 수용체 차단제로, 과거에는 위궤양 및 GERD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NDMA 발암 물질 검출 문제로 인해 2019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퇴출되었으며, 현재는 파모티딘이나 PPI 계열 약물이 대체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주요 용어 정리

  1. H2 수용체 길항제(H2RA) - 히스타민이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2.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 - 발암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
  3. 위식도 역류 질환(GERD) -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속쓰림이 발생하는 질환
  4.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위장약
  5. 소화성 궤양 - 위나 십이지장 점막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궤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