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상식

부정맥 종류별 특징! 심방세동부터 심실빈맥까지 알아보기

writeguri3 2025. 3. 15. 11:25
반응형

**부정맥(Arrhythmia)**은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질환으로, 발생 위치와 박동 패턴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어떤 부정맥은 무증상이거나 경미하지만, 어떤 것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부정맥 종류와 특징, 위험성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부정맥의 주요 분류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 신호가 시작되는 위치와 박동 속도에 따라 크게 나뉩니다.

  1. 느린 부정맥(서맥, Bradycardia): 심장 박동이 너무 느린 경우(분당 60회 미만)
  2. 빠른 부정맥(빈맥, Tachycardia): 심장 박동이 너무 빠른 경우(분당 100회 이상)
  3. 불규칙한 부정맥: 심장이 일정한 리듬을 유지하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뛰는 경우
  4. 심실성 부정맥: 심장의 하부(심실)에서 발생하여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ib) - 가장 흔한 부정맥

✅ 특징:

  • 심장의 심방(위쪽 부분)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
  • 심방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혈액이 정체될 수 있음
  •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부정맥

✅ 증상:

  •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 어지러움 및 실신
  • 호흡곤란
  • 피로감

✅ 위험성:

  • 심방 내 혈액이 정체되면서 혈전(피떡)이 형성될 위험이 있음
  • 혈전이 뇌로 이동하면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음
  •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해 심부전으로 진행될 가능성 높음

✅ 치료법:

  • 항응고제(혈전 예방), 항부정맥제, 심박수 조절 약물 사용
  • 심한 경우 전기충격(전기 심율동 전환) 또는 카테터 절제술 시행

2.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과 유사하지만 규칙적인 패턴 🔄

✅ 특징:

  • 심방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규칙적으로 뛰는 부정맥
  • 심방세동과 비슷하지만, 더 규칙적인 전기 신호 패턴을 가짐
  • 보통 심방세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

✅ 증상:

  • 가슴 두근거림
  • 피로 및 어지러움
  • 가슴 답답함

✅ 위험성:

  • 심방세동과 마찬가지로 혈전 생성 위험이 높음
  • 뇌졸중 및 심부전 가능성 존재

✅ 치료법:

  • 약물 치료(베타 차단제, 칼슘채널 차단제)
  • 전기 심율동 전환(전기충격)
  • 카테터 절제술 시행 가능

3.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 심장에서 가장 위험한 부정맥 ⚠️

✅ 특징:

  • 심실에서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해 심박수가 빠르게 유지
  •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쇼크, 심정지로 이어질 위험이 큼

✅ 증상:

  • 심한 가슴 두근거림
  • 호흡곤란
  • 어지러움 및 실신
  • 갑작스러운 의식 소실(심정지)

✅ 위험성:

  • 치료하지 않으면 심실세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
  • 급성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어 응급 치료 필요

✅ 치료법:

  • 응급 상황에서는 전기 충격(제세동기) 사용
  • 항부정맥제(아미오다론 등) 투여
  • 재발 방지를 위해 삽입형 제세동기(ICD) 이식 가능

4.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ib) - 즉시 응급 처치가 필요한 치명적 부정맥 🚨

✅ 특징:

  • 심장의 심실이 무질서하게 떨리며 정상적인 혈액 공급이 중단
  • 심장이 펌프 기능을 하지 못해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 위험

✅ 증상:

  • 갑작스러운 의식 소실
  • 맥박 없음
  • 호흡 정지

✅ 위험성:

  • 심정지로 인해 몇 분 내 사망 가능
  • 심폐소생술(CPR)과 제세동이 없으면 생존율이 급격히 낮아짐

✅ 치료법:

  • 즉시 제세동(전기 충격) 시행
  • 심폐소생술(CPR) 실시
  • 원인 치료 후 삽입형 제세동기(ICD) 사용 가능

5. 동방차단(Sick Sinus Syndrome, SSS) - 심장 박동이 느려지는 질환 🕒

✅ 특징:

  • 심장의 자연적인 박동 조절 센터(동방결절)의 기능이 저하됨
  • 심장 박동이 너무 느려져 어지러움, 피로가 심하게 나타남

✅ 증상:

  • 쉽게 피로감을 느낌
  • 운동할 때 심한 숨참
  • 어지러움 및 실신

✅ 위험성:

  • 심한 경우 뇌로 가는 혈류 부족으로 실신 위험 증가
  • 심부전과 같은 합병증 발생 가능

✅ 치료법:

  • 심박수 조절 약물 사용
  • 심박조율기(페이스메이커) 삽입 필요

부정맥의 위험도를 한눈에 비교하기 📊

부정맥 종류 심박수 이상 증상 위험성 치료법
심방세동 빠르고 불규칙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혈전, 뇌졸중 위험 항응고제, 약물, 전기충격
심방조동 빠르고 규칙적 가슴 답답함, 피로 심방세동으로 발전 가능 약물, 전기충격
심실빈맥 매우 빠름 심한 두근거림, 실신 급성 심정지 가능 응급 제세동, 항부정맥제
심실세동 매우 빠름(무질서) 의식 소실, 맥박 없음 즉시 사망 위험 즉시 CPR, 제세동
동방차단 느림 피로, 어지러움 실신, 심부전 가능 심박조율기 삽입

부정맥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

  •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식단 유지하기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심장 건강 강화하기
  • 스트레스 관리 및 금연 실천하기
  • 정기적인 심장 건강 검진 받기

 

반응형